동파 방지 시스템
필름히터 / 메탈히터 / 저전력 메탈히터 / 히팅 케이블
동파 방지 시스템 원리

필름 히터

얇은 PI(폴리이미드) 필름 사이에 전도성 잉크나 금속선을 인쇄한 면상 발열체로, 넓은 면적에 걸쳐 균등하게 열을 분산시킵니다. (주)에프엘의 필름히터는 기존 나노필름히터의 스크래치 등 2차 손상으로 인한 쇼트 발생을 보완한 제품입니다.
메탈 히터

내부 저항선에 전류가 흐르면서 발생하는 열이 금속 외피를 통해 배관으로 직접 전달되는 전도 열전달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금속의 뛰어난 열전도율 덕분에 히터에서 발생한 열이 빠르고 균등하게 배관 전체로 퍼져나가며, 배관과의 직접 접촉을 통해 열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으로 온도를 유지합니다.
저전력 에코 메탈히터

기존 메탈히터 마다 전원 박스를 설치하던 방식이 아닌 포설 방식으로 설치해 1개의 전원 박스에 다수의 메탈히터를 연결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합니다.
정온 전선(히팅케이블/열선)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특수 도체(PTC 소재)를 사용하여 온도가 올라갈수록 저항이 증가해 발열량이 자동으로 줄어드는 자기제어형 히터입니다.
동파 방지 시스템 비교
동파 방지 기술에는 다양한 옵션이 있으며, 각 기술은 고유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에프엘은 필름 히터, 메탈 히터, 메탈 히터를 모두 설계 및 시공하고 있으며 귀사에 적합한 동파 방지 시스템을 선별하여 최적의 동파 방지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메탈히터 | 필름히터 | 정온전선 | |
---|---|---|---|
열전달 방식 | 배관에 부착하는 스틱 타입(PTC타입) | 배관을 감싸는 필름 타입(면상 발열체) | 부착형 전선 타입(PTC소재) |
성능 길이 | 외부 -10℃/100A기준 최대 18M 동파방지 성능 (200W 제품 기준) | 외부 -10℃/100A기준 최대 22M 동파방지 성능 (230W 제품 기준) | 포설 방식이라 별도 성능길이 해당 없음 |
예상 전력량 | M당 11.1W~14W 1000M=14kW 소요 (외부 온도 하강시 추가 전력 필요) | M당 10.4W 1000M= 10.4kW 소요 (외부 온도 하강시에도 추가 전력 없음) | 16~24W(M가 길어질 수록 소요가 늘어남) 1000M=24kW 소요 (외부 온도 하강시 추가 전력 필요) |
인증 | UL인증 FM인증(일부업체) 불연재(난연 1급) | UL인증 CE인증 불연재(난연 1급) | FM 인증 UL인증 난연재 |
수명 | 반영구적 | 기대 수명 50년 (ON/OFF 사이클 시험 7만회 시험 결과 발열량 일정) | 최장 10년 |
기존 메탈히터 | 저전력 에코&내진 메탈히터 | 필름히터 | 정온전선 | |
---|---|---|---|---|
제품 개요 | ㆍ티탄 산 바륨계 산화물을 혼합하여 소성한 PTC 세라믹을 사용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발열량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히터. ㆍ포인트 방식 | ㆍ티탄 산 바륨계 산화물을 혼합하여 소성한 PTC세라믹을 사용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발열량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히터 ㆍ포인트 방식 및 포설방식 | ㆍSUS 패턴을 이용한 PI Film에 인쇄 및 코팅하여 에너지 소비 효율을 높인 고효율의 발열성을 가진 면상 발열체 ㆍ포인트 방식 | ㆍ불규칙 병렬회로 구조를 갖도록 제작된 발열 체로서 온도 변화에 따른 내부저항 변화에 의해 발열량이 증감하는 케이블 |
발열 소자 | ㆍPTC Thermistor | ㆍPTC Thermistor | ㆍPI Film 소재 ㆍSUS 패턴 | ㆍPTC분말 + 플라스틱 |
외장재 | 알루미늄 | 알루미늄 | PI Film | 플라스틱 |
시공 | ㆍ유체가 있는 탄소강관 및 SUS배관설치 ㆍ펌프, 밸브 등 장비 주변 시공, 장비류 동파 방지 (대류현상) | ㆍ유체가 있는 탄소강관 및 SUS배관설치 ㆍ펌프, 밸브 등 장비 주변 시공, 장비류 동파 방지 (대류현상) ㆍ흔들림 방지 버팀대 결합 하여 사용 ㆍ대류현상이 적은 소구경 배관에 포설로 사용 | ㆍ유체가 있는 탄소강관 및 SUS배관설치 ㆍ펌프, 밸브 등 장비 주변 시공, 장비류 동파 방지 (대류현상) | ㆍ관경별 시공법 상이 ㆍ겹침 시공시 화재 위험성 증가 우려 ㆍ펌프, 밸브 등 장비 시공성 저하 |
최적 시공 대상 | ㆍ공동주택주차장 및 일반 건축물 일반 물류 창고K80 스프링클러(25A이상 배관) ㆍ열선사용시 유지관리비용 절감이나 전력량을 감소할 목적이 있는 경우 | ㆍ공동주택 주차장 및 일반건축물 흔들림방지 버팀대가 사용되는 건축물 25A 이하 배관에도 동파방지를 적용할 때 ㆍESFR 및 라지드롭 헤드를 사용하는 물류창고 및 일반 물류창고 | ㆍESFR 라지 드롭 배관 및 물류 창고 ㆍK160 이상 대유량 스프링클러 (가지배관50A이상) | ㆍ동파 방지 대상 전체 ㆍ오배수배관 등 흐르는 배관 적합 |
특장점 | ㆍ히터소재(PTC)로 자율 제어 가능하여 별도의 전기적제어 없이 히터 과열 방지 ㆍ알루미늄소재로 경화현상 발생하지 않음 ㆍ필름히터 및 열선 대비 내구성이 우수 ㆍ불연 재료 ㆍ열선 대비 전력량 최대 20~30% 절감 ㆍ필름히터에 온도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온도조 절용 바이메탈이 필요 없음 (PCT 소재 자체 온도조절) ㆍ열기가 제품에 직접 닿을 경우에도 현상 변화가 없고 재사용이 가능함 | ㆍ히터소재(PTC)로 자율 제어 가능 ㆍ별도의 전기적제어 없이 히터 과열 방지 ㆍ포인트 방식에 단점인 배관 구조 배관 내 공기 고임 현상 또는 배관 구조(엘보, 티분기) 불균형 한 배관수평 조건으로 발생되는 대류 현상의부 재 방지 ㆍ필름히터 및 열선 대비 내구성 우수 ㆍ20A미만 배관에 동파 및 시공비용 증가 없이 설치 가능 ㆍ흔들림 방지 버팀대가 일으킨 동파방지 성능 저하를 해결 ㆍ열선 방식 장점인 포설 방식으로 메탈히터를 포설하여 동파방지를 함 ㆍ기존 메탈히터,필름히터 대비 전력량 및 시공 비용이 가장 낮음 | ㆍ메탈히터 대비 설치 수량을 절감 할 수 있음(일부 물류센터에 한함) ㆍ불연 재료 ㆍ히터 동작 시 돌입전류 없음 ㆍ대 구경 배관에 성능이 좋음 ㆍ기존 메탈히터 및 열선 보다 시공비용 및 전력량이 낮음 | ㆍ신축공사 경우 시공 비용 경제성 ㆍ히터소재(PTC)로 자율 제어 가능 (판넬 없이 가능) ㆍ안정적인 동파 방지 성능 가장 우수 |
단점 | ㆍ보온재 스트레스 발생(~85°) -100W이상 제품에 메탈 히터 전용 보온재로 커버 ㆍ시공 비용이 높음 (열선대비 130~150%) | ㆍ주문 제작형 타입 제품으로 생산 발주 시 제작 시 기간이 일정부분 소요됨 ㆍ보온재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전용 커버사용 ㆍ열선대비 시공비용이 다소 높음 ㆍ초기 작동 시 돌입전류가 발생되나 제어반에서 해결 가능 | ㆍ메탈히터 및 열선대비 내구성이 약함(스크래치 및 훼손으로 성능저하 발생 잦음) ㆍ배관에 유체가 충수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을 경우나 유체가 없는 배관일 경우 필름의 경화 현상 발생가능성 있음 ㆍ히터 과열 보호로 바이메탈을 설치하나 바이메탈 고장일 경우 히터 및 보온재 스트레스 발생 ㆍ불연재료이긴 하나 열기에 닿을 경우 제품현상 변화 발생 특히 필름히터 모서리 부분에 직접 열기가 닿을 경우 형상변화가 심하고 제품 재사용이 불가함 | ㆍ배관 관경/길이가 늘어날수록 전력량 증가 ㆍ난연재료로 화재위험성 노출/비인증 제품 사용시 화재 위험성 유발 ㆍ정온전선 절단면의 절연 처리로 위험성 노출 분진 및 수분침입으로 인한 트래킹 현상으로 화재 위험성 존재 ㆍ높은 전력량 소모로 유지비용 증가 ㆍ고장 및 재 설치시 보온재로 덮여있어 재 시공 비용 증가 |